“진절머리 난다”던 대통령실 직원, 퇴사 브이로그 논란 후 전면 비공개

안녕하세요, 클레버 입니다.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에서 근무했던 한 직원이 올린 퇴사 브이로그 영상이 큰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영상에서는 대통령실에 대한 부정적인 언급과 정치적 표현이 포함되어 있어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 논란까지 번졌습니다. 이에 해당 직원은 결국 해당 영상을 모두 비공개로 전환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해당 사건의 전말과 관련 쟁점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대통령실 직원의 퇴사 브이로그, 그 내용은?
첫 회사생활의 마무리를 담은 영상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에서 비서실 사진가로 근무했던 A씨는 지난 4일 유튜브에 "회사 없어지기 디데이(D-Day). 마지막 출퇴근과 이사, 그 이후"라는 제목의 2분짜리 브이로그 영상을 올렸습니다. 영상에는 대통령실 출입증을 반납하는 장면과 서울 용산구 자택으로 돌아가 이삿짐을 정리하는 모습이 담겼습니다.
A씨는 영상에서 "스물다섯에 시작한 첫 회사생활은 너무 재밌기도 했지만, 진짜 많이 버텼다. 또 버틴 만큼 앞으로 나아갔던 것 같다"며 소회를 밝혔고, "그 과정에서 많이 무뎌지기도 했고 강해지기도 했다. 새로운 경험을 하는 게 중요한 저에게 이 일은 정말 많은 경험을 선물해줬다"고 덧붙였습니다.
제주도에서의 새로운 시작
A씨는 당분간 서울을 떠나 제주도에서 휴식을 취할 계획이라고 했습니다. "앞으로 제 앞에 뭐가 기다리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두달 동안 제주도에서 좋아하는 사진을 잔뜩 찍고, 해가 뜨고 지는 걸 보는 삶을 살아보려고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언급은 단순한 퇴사가 아닌, 새로운 삶에 대한 시작을 알리는 듯한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영상 속 발언과 활동, 공무원법 위반 소지
공직자의 정치적 표현 논란
A씨는 퇴사 브이로그 외에도 여러 개의 개인 영상을 유튜브에 업로드해왔습니다. 그중에는 출퇴근길, 회식, 이직 준비 등 다양한 주제가 있었고, 지난 3월 1일에는 윤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시위에 참여해 사진을 찍는 영상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문제가 된 발언은 지난 4월 24일 업로드된 영상에서의 표현입니다. A씨는 "회사가 사라져 퇴사까지 40일 남았다"며, "회사가 사라지기 전 승진을 해주는 것 같은데, 역시나 저는 해주지 않는다. 망할 회사, 진짜 너무 싫어 진절머리가 난다"고 강하게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공무원법 위반 소지 지적
해당 영상과 발언에 대해 비판이 잇따랐습니다. 유튜브 댓글에는 "공무원 신분으로 정치적 집회에 참석한 걸 자랑스럽게 영상으로 남겼다", "대통령실이 일반적인 직장도 아닌데 퇴사 브이로그를 남기는 건 무슨 경우냐" 등의 반응이 올라왔습니다.
국가공무원법과 지방공무원법에 따르면, 공무원은 정치적 표현, 정당 가입, 정치 자금 기부, 정치적 목적의 시위·집회 참석 등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위반 시 '정치운동죄'로 최대 3년 이하의 징역형과 자격정지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겸직 허가 여부도 쟁점으로 부상
유튜브 수익 활동의 법적 조건
A씨가 유튜브 방송 활동을 하기 위해 겸직 허가를 받았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인사혁신처 예규에 따르면, 공무원이 개인 방송을 하려면 소속 기관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유튜브의 경우 구독자 1000명, 연간 누적 재생 시간 4000시간 이상의 수익 창출 요건을 충족했다면 반드시 겸직 허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A씨가 겸직 허가 없이 유튜브 수익 활동을 했다면, 이 또한 법적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영상 전면 비공개 처리
논란이 커지자 A씨는 유튜브에 업로드했던 모든 퇴사 브이로그 영상을 비공개 처리했습니다. 현재 해당 채널에는 관련 콘텐츠를 확인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이번 사건은 공직자의 정치적 중립성과 개인 표현의 자유 간 경계, 그리고 SNS 활동에 대한 공무원 지침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환기시키고 있습니다.
대통령실 직원의 퇴사 브이로그는 단순한 이직 스토리를 넘어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과 공직윤리, 그리고 개인 표현의 자유 사이의 갈등을 드러냈습니다. 누리꾼 사이에서는 공무원의 자유로운 자기표현을 옹호하는 목소리도 있는 반면, 공직 기강을 해치는 행위라는 비판도 거셉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의견을 공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