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클레버 입니다.
서울대학교 이과 조교가 최근 공개한 한 통의 항의 메일이 온라인을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 학부모가 자녀의 C학점에 불복하며 직접 조교에게 성적 정정을 요구하고 나선 것인데요. 해당 사연은 학부모의 과도한 개입과 대학 자율성의 경계를 다시금 생각하게 합니다. 오늘은 그 논란의 메일 내용을 중심으로 서울대 커뮤니티 반응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서울대 조교가 공개한 학부모 항의 메일
“우리 아이가 C를 받을 리 없다”는 주장
2025년 6월 26일, 서울대학교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 올라온 게시글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과 조교라고 밝힌 작성자는 자신이 받은 학부모 항의 메일을 공개했는데요, 메일에는 자녀가 C학점을 받은 사실에 대한 학부모의 강한 불만이 담겨 있었습니다.
학부모는 *"본 수강생은 영재고를 매우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수학, 물리학에 탁월하게 통달한 상태다. 상대평가에서 C를 받을 학생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성적 정정을 요구했습니다.
조교의 반응과 대응
해당 조교는 *"읽으면서도 이게 무슨 상황인지 이해할 수 없었다"*며 황당함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조교는 해당 학생에게 부모가 직접 항의 메일을 보냈다는 사실을 알리며 재발 방지를 당부했습니다.
또한 교수에게도 상황을 전달했지만, 교수는 *"성적 처리에 문제가 없다"*며 무시해도 좋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습니다. 결국 조교는 학생의 답안지를 스캔해 부모에게 직접 전달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메일 속 학부모의 구체적 요구
교수가 직접 재채점하라는 요청
학부모는 조교가 성적을 채점했다는 사실을 문제 삼으며, *"강좌를 진행하는 교수가 직접 재채점을 하라. 그렇지 않으면 법적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이어 *"서울대 성적 평가 방식이 엉터리라는 것을 깨달았다"*며 강하게 비난했습니다. 이는 대학의 교육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학생 성적 근거는 낮은 분포
조교는 해당 학생의 성적에 대해 *"중간, 기말 시험 모두 q1(하위 25%)와 q2(중간값) 사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상대평가 체계상 해당 성적은 자연스러운 결과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이를 통해 조교는 성적 산정에 문제가 없었음을 강조했습니다.
서울대 커뮤니티 반응과 논란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
서울대 학생들은 게시글에 다양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일부는 *"학생도 참 괴롭겠다. 학창시절부터 얼마나 시달렸겠나"*라며 안타까움을 표현했습니다.
다른 학생은 *"교수 이메일이면 구글 검색으로 어떻게 알아냈겠다고 생각하겠지만 조교에게 메일을 보낸 건 학생이 사주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추측도 내놓았습니다.
성적에 대한 책임 논쟁
또 다른 학생은 *"C 받을 정도면 본인이 공부를 안 한 것 아니냐"*며 자녀 본인의 책임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대학 수업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책임이 학생 본인에게 있다는 점을 다시 상기시키는 지점입니다.
이처럼 학부모의 개입이 오히려 학생에게 불필요한 부담과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비판도 적지 않았습니다.
이번 논란은 대학 수업과 성적 평가의 자율성, 학부모의 개입, 그리고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해 다양한 생각거리를 던져주고 있습니다. 성적 하나에도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히는 현실 속에서 우리는 어디까지가 적절한 개입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여러분은 이런 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