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클레버 입니다.
오늘은 인천 부평구의 한 공원에서 발견된 생태계교란종 '늑대거북' 관련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이 대형 외래종 거북은 공격성이 강하고 국내 생태계에 위협을 줄 수 있는 동물입니다. 부평구는 이를 유수지에서 온 개체로 보고 방사했지만, 뒤늦게 늑대거북임을 파악하고 포획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번 상황을 통해 외래종 관리와 대응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주목되고 있습니다.

부평 공원에서 발견된 대형 거북, 정체는 '늑대거북'
주민 신고로 시작된 대형 거북 소동
30일 오전 7시 42분경, 인천시 부평구 갈산동에 위치한 한 공원에서 대형 거북이 출몰했다는 민원이 접수됐습니다. 주민의 신고에 따라 부평구는 해당 거북을 생태 체험용으로 사용되는 유수지에서 탈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일단 유수지로 방사 조치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조사를 통해 이 거북이 환경부가 지정한 생태계교란종 '늑대거북'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구청은 급히 포획 작업에 착수할 방침입니다.
늑대거북의 위험성과 국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늑대거북(Chelydra serpentina)은 북미 원산의 외래종으로, 어류, 조류, 양서류, 심지어 소형 포유류까지 포식하는 등 매우 강한 포식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에는 이를 제어할 천적이 없어 생태계 파괴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부평구가 이 거북을 처음에 방사했다는 사실은 외래종 대응 매뉴얼의 미비와 함께 현장 대응 시스템의 허점을 드러낸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포획 계획과 향후 대응
초기 대응의 실수, 재포획 계획 착수
부평구는 당초 해당 거북을 일반적인 생태 체험 개체로 오인해 민간 위탁업체를 통해 유수지로 돌려보냈습니다. 하지만 해당 거북이 생태계교란종으로 확인되자 곧바로 대응 방침을 수정했습니다.
구청 관계자는 "당직 민원을 처리하는 민간 위탁업체가 실수로 방사 조치를 했다"며 재포획과 주변 탐색 작업을 신속히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늑대거북 발견이 던지는 경고
이번 사건은 단순한 동물 출몰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외래종에 대한 사전 식별 및 대응 체계의 필요성이 강조되며, 지자체와 민간 업체 간의 소통과 교육 부족이 위험 요소로 부각되었습니다.
늑대거북과 같은 공격적 외래종의 관리 부실은 도심 생태계뿐 아니라 시민 안전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체계적인 대응 체계가 요구됩니다.
이번 인천 부평 공원의 늑대거북 출몰은 우리 사회가 외래종에 얼마나 무방비한지를 보여준 사례입니다. 부주의한 방사 결정과 그에 따른 빠른 대응 전환은 개선의 여지를 보여줬지만, 근본적인 대응 매뉴얼과 체계 강화가 절실합니다. 여러분은 외래종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