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클레버 입니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논문에서 챗GPT가 생성한 것으로 의심되는 문장이 무려 250개나 발견됐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표절 의심률은 74%에 달하며, 학계에서는 교신저자에게도 연구윤리 책임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해당 논문이 어떤 방식으로 작성됐는지, 그리고 학계와 당사자들의 입장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챗GPT 생성 문장 250개…표절 의심률 74%
카피킬러 분석 결과 공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논문에서 챗GPT가 생성한 것으로 의심되는 문장이 250개 발견됐습니다.
논문 제목은 ‘듀프 제품의 확산과 디자인 보호’이며, 표절 의심률이 7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본보가 카피킬러를 통해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절 검증 시스템의 한계
카피킬러는 국내 대학에서 널리 사용하는 표절 검사 프로그램으로, 최근에는 생성형 AI 문장까지 탐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연구재단의 논문 유사도 시스템은 기존 논문과의 유사도만 측정하기 때문에, 해당 논문은 큰 문제 없이 학술지에 게재된 것으로 보입니다.
교신저자 책임론과 논란
학계 “교신저자도 같은 책임”
학계에서는 교신저자인 이진숙 후보자에게도 1저자와 동등한 연구윤리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한 수도권 대학 교수는 “교신저자는 논문 출판 과정을 책임지는 위치이기 때문에 표절률에 대해서도 1저자와 동일하게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1저자 박해림 교수의 해명
논문 1저자인 박해림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교수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해당 연구는 판결문이나 기존 연구가 없는 주제라 기사를 많이 활용했다”며, AI 문장 사용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그는 또 “챗GPT에서 검색한 뒤, 공신력 있는 분들의 리뷰와 일치하면 제 의견을 더해서 적었다”고 밝혔습니다.
AI 활용 논문, 명확한 기준 부재
후보자 입장과 학계 시각
이진숙 후보자는 본보에 “선행 논문이 없는 주제이기 때문에 1저자의 설명대로라면 문제는 없어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챗GPT 문장을 원문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표절에 가깝다는 입장이 많습니다.
AI 활용 논문, 제도 미비
현재 논문 작성 시 AI 활용에 대한 명확한 지침은 마련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큽니다.
서울의 한 대학 교수는 “실험 결과나 원자료를 챗GPT에 입력하면 검증 없이 논문을 쓸 수 있어, 표절보다 더 심각한 문제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에서 챗GPT 생성 문장이 대량으로 발견되면서 학계와 사회 전반에 적지 않은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AI 활용 논문에 대한 제도적 기준이 명확히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에, 이번 논란을 계기로 명확한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